기후동행카드는 서울내 지하철, 버스, 따릉이까지 한달에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교통비 절약 카드입니다. 매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학생, 직장인들은 무조건 발급받아야 하는 교통카드인데요.
단, 잘 알지 못하고 사용한다면 추가요금이 부과될 수 있어서 주의해야 하는 점도 있어요.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기후동행카드 방법 지금부터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는 한달에 서울내 버스, 지하철,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 서울특별시에서 진행사는 시범사업으로 2024년 1월 27일부터 이용이 가능해요.
기후동행카드 주요내용
- 시범 기간 : 2024년 1월 27일 ~ 2024년 6월 30일
- 이용 범위 : 서울 면허 버스와 마을버스, 서울지역 지하철, 따릉이
- 이용 불가 범위 : 서울지역이 아닌 지하철, 버스, 광역버스, 신분당선, 타 지역 면허 버스
- 이용 요금 : 지하철 + 버스 이용(월 62,000원), 지하철 + 버스 + 따릉이(월 65,000원)
- 카드 종류
- 모바일카드 : 안드로이드 휴대폰 사용자만 이용가능
- 실물카드 : 아이폰 휴대폰 사용자 또는 실물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자
- 카드 사용방법
- 모바일카드
- 모바일 티머니 앱에서 기후동행카드 발급
- 모바일 티머니앱에서 계좌이체로 충전해서 사용(추후에 신용카드 충전 가능)
- 모바일 카드 > 터치결제 선택하여 버스 단말에 태그하여 사용(필수. NFC 기본 모드 ON)
- 실물카드 :
- 편의점 또는 지하철 역내 고객안전실에서 카드 구매(3,000원)
- 반드시 티머니 카드 & 페이 홈페이지에서 카드 등록 후 사용
- 지하철 역사 무인충전기에서 충전해서 사용
- 실물카드를 버스 단말기에 태그하여 사용
- 모바일카드
기후동행카드 버스, 마을버스, 심야버스
기후동행카드로 버스를 이용할때는 기본적으로 승하차 지역이 서울지역이어야 하고 마을버스, 심야버스도 가능합니다.
예외적으로 서울 면허 버스는 서울지역이 아닌 곳에서 승차나 하차도 가능합니다. 즉 서울에서 승차하여 하남에서 하차 하는 경우가 가능한 것입니다. 서울면허 버스인지의 여부는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이 가능하고, 버스를 타실때 기후동행카드라고 앞에 적혀 있는 버스라면 이용이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기후동행카드 경기도 광역버스
경기도에 거주하면서 광역버스를 이용해 서울로 등하교 하는 학생이나,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은 버스비가 부담되기 때문에 기후동행카드에 관심이 많으실텐데요.
안타깝게도 경기도 광역버스는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경기도민이라면 청년의 경우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30%까지 할인이 가능한 K패스, 경기패스, 인천패스를 알아두세요! 24년 5월부터 시행예정입니다.
K패스가 출시 되기 전에는 알뜰교통카드로 최대 교통비를 30%까지 아낄 수 있는 방법이 있으니 아래의 알뜰교통카드 체크카드 및 사용법 알아보기 글을 확인해보세요!
기후동행카드 지하철
기후동행카드로 지하철도 이용이 가능한데요. 지하철도 서울시내에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종로3가역에서 승차하고 인덕원역(경기)에서 하차를 할 경우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승차는 처리되나 하차 처리가 되지 않아 역무원에게 요청하여 승차-하차 구간에 대한 요금을 다른방법으로 지불해야 합니다.
예외적으로 서울시내에서 승차 후 하차가 가능한 경기도 지역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승차는 불가능)
- 4호선(별내별가람~진접)
- 5호선(미사~하남검단산)
- 7호선(석남~까치울)
- 김포골드라인 전구간
- 진접선 전구간
기후동행카드 경기도 하차, 신분당선 하차시 추가요금 부과된다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지역이 아닌 경기도 지역에서 하차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경기도민들이 서울로 이동할때 자주 이용하는 광역버스나 신분당선도 이용이 불가능한데요.
신분당선은 민간사업자로 교통요금 체제가 다르기 때문에 서울시내 지역에서도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지하철을 잘못 하차할 경우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중지 될 수가 있는데요. 예를 들어 서울시내지역 지하철에서 승차하고 하차가 불가능한 서울 지역 외에서 하차를 할 경우에 하차처리가 되지 않아 역무원을 불러 요금을 따로 결제해야 하고, 하차 미태그 처리로 간주가 됩니다.
하차 미태그 처리로 2회 누적이 될 경우 승차했던 시간 기준 ~ 24시간동안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중지 됩니다. 이 누적된 2회는 기후동행카드 한달 사용이 끝나는 시점에 초기화 되니 하차 태그 관리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기후동행카드 아이폰, 안드로이드(삼성페이) 사용법
기후동행카드는 모바일카드와 실물 카드가 있습니다. 모바일 카드의 경우는 안드로이드 휴대폰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폰 휴대폰 사용자의 경우는 실물카드를 이용해야 합니다.
안드로이드 휴대폰 사용자는 삼성페이를 이용하는 분이 많으실텐데요. 안타깝게도 기후동행카드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삼성페이에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기존 삼성페이로 교통카드를 이용해서 사용하시던 분이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한다면 중복 결제를 방지하고자 삼성페이에 등록했던 교통카드는 해지하고 기후동행카드 모바일 사용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른 지역 교통카드 사용을 위해 삼성페이의 교통카드를 남겨두고 싶으시다면, 티머니 앱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주카드로 사용하도록 설정을 바꾸어 두시면 됩니다.
기후동행카드 현금영수증 발급 방법
기후동행카드는 현금영수증 발급이 가능합니다. 충전요금 기준으로 현금영수증이 발급되며 등록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기후동행카드 현금영수증 발급 방법
기후동행카드 판매처 조회
기후동행카드는 지하철 역사 내 고객안전실이나 CU, GS25, emart24, 세븐일레븐 편의점에서 카드를 구입할 수 있는데요. 지하철 역사 내에서는 오직 현금 구매만 가능합니다.
근처 어디서 판매하고 싶은지 미리 알고싶다면 아래의 기후동행카드 판매처 지도에서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