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병원에서 진료시 건강보험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신분증 확인이 필요해요. 신분증이 없으면 건강보험을 적용받지 못해 비싼 병원비를 내야 하는데요.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설치 후 한번 발급받아두면 3년동안 유효하기 때문에 비싼 병원비를 감당할 필요가 없어요. 신분증 사진으로는 신분확인이 불가하므로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을 따라해 발급받아보세요.
모바일 건강보험증 신분증 확인
2024년 5월 20일부터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제도에 따라 병원진료시 또는 약국에서 신분증 확인이 안되면 건강보험 적용이 불가해 비싼 비용을 지불해야 해요. 신분증 확인이 안된다고 해서 진료를 받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어 단순히 감기로 인한 방문해도 몇만원씩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요.
이는 여러 요양기관에서 주민등록을 수기로 받아 진료등을 받아서 타인의 명의를 도용하는 악용사례가 많아졌기 때문에 이와같은 제도가 시행된다고 해요.
신분증, 운전면허증과 같은 실물 카드 외에 전자신분증으로 본인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한데요. 그 중에서도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은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제시하거나 QR 코드 생성 제출로 건강보험이나 의료급여의 본인확인을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대체 신분확인 방법
구분 | 신분확인 방법 |
---|---|
실물카드 신분증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국가보훈등록증, 장애인등록증, 외국인 등록증, 국내거소신고증, 영주증 |
전자서명인증서 |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디지털 원패스, 간편인증(PASS, 네이버, 카카오 인증서 등) |
전자신분증 | 모바일 건강보험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확인서비스(PASS) 등 |
모바일 건강보험증 필요 없는 경우
건강보험 적용시 본인확인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도 있어요.
- 19세 미성년자에게 요양급여를 실시하는 경우
- 병원에서 본인확인을 했었고 그 자격을 확인한날로부터 6개월 이내 재진료 하는경우
- 의사 등 처방전에 따라 약국 약제를 지급하는 경우
- 응급환자인 경우
- 중증장애인, 장기요양자, 임산부인 경우
- 다른 의료기관에서 의로 또는 회송 받은 경우
모바일 건강보험증 등 신분증 놓고왔다면?
병원진료시 건강보험 혜택을 받으려면 신분확인이 필수가 되었는데요. 휴대폰 마저도 놓고와서 신분 확인할 방법이 없다 해도 진료는 받을 수 있어요. 대신 건강보험 혜택 적용이 안되기 때문에 병원비를 본인이 전부 부담해야 합니다.
하지만 진료일로부터 15일 이내 병원에 재방문하여 신분을 확인한다면 건강보험 혜택을 받아볼 수 있어서 기존에 냈던 병원비에서 그 차액만큼 다시 환급을 받을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앱을 설치 후 1분만 투자하면 바로 발급이 가능해요. 필요한 준비물 및 절차는 다음과 같은데요.
-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다운로드 하여 설치
- 개인 or 요양기관 선택
- 언어 선택
- 본인확인 하기 선택
- 본인확인 진행 및 완료
- 사용할 비밀번호와 Face ID와 같은 생체 인증 설정
-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완료
모바일 건강보험증 미성년자 자녀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는 19세 이상 성인에만 적용되는 사항이라 미성년자 자녀라면 모바일 건강보험증이 없어도 병원 진료시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 진료시 했던 방법처럼 주민등록번호 조회 후 진료를 받아볼 수 있어요.